본문 바로가기

나만 아는 취미활동

색각 탐구 예술(Chromatic Perception Art) 취미활동: 감각의 재해석

 

1. 색을 본다는 것, 그리고 나의 세계

색각 탐구 예술(Chromatic Perception Art) 취미활동: 감각의 재해석

색이란 무엇일까? 사람들은 흔히 색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만, 색약을 가진 나에게 색은 언제나 질문을 던지는 존재였다. 남들이 “선명한 초록”이라고 말할 때, 나에게 그것은 흐릿한 회색빛에 가까울 수도 있고, 빨강과 초록이 겹쳐 보이거나 특정 색상이 아예 인지되지 않기도 한다. 처음에는 그저 내가 색을 잘 모르는 것이라 생각했지만, 점차 색을 보는 방식이 다를 수도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색각 탐구 예술(Chromatic Perception Art)은 이런 감각의 차이를 예술로 풀어내는 시도이다. 색약 혹은 색각 이상을 가진 사람이 바라보는 세상을 시각적으로 재현하여, 다수의 사람들이 색을 받아들이는 방식이 다를 수 있음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이것은 단순한 색상의 재구성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감각 자체를 재해석하는 작업이다.


2. 색각 탐구 예술의 의미: 단순한 색 조정이 아니다

색각 탐구 예술은 단순히 색상을 바꿔서 보는 것을 넘어, 색이 지닌 감각적 역할을 탐구하는 과정이다. 색은 단순한 시각적 요소가 아니라,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기억을 환기시키며 공간을 형성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색약 혹은 색각 이상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미술은 단순히 ‘빨강을 인식할 수 없는 것’을 넘어서, 색이 주는 감각적, 심리적 차이를 반영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색약을 가진 사람에게 초록과 갈색이 비슷하게 보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단순히 초록을 갈색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초록이 가진 ‘시각적 무게감’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우리는 색을 경험하는 방식이 다름을 예술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3. 색각 탐구 예술의 표현 기법

① 색각 변형 필터를 적용한 작품 제작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색각 변형 필터를 적용해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보정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필터를 사용하면 색약이나 색각 이상이 있는 사람이 바라보는 색채 환경을 보다 직접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② 대비와 형태를 강조하는 회화 기법

색이 아닌 형태와 명암을 강조하는 그림을 통해 색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인지할 수 있는 강렬한 시각적 표현을 시도한다. 색의 차이가 줄어들면 형태와 질감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를 극대화한 디자인이 유용하다.

③ 색을 배제한 흑백 회화 및 조형 예술

색에 의존하지 않고, 형태와 빛의 변화를 통해 감정을 전달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색을 경험하는 대신, 촉각이나 질감, 명암의 흐름을 더 강조하는 것이다.

④ 색에 의미를 부여하는 실험적인 설치 미술

색을 보고 구별하는 것이 아니라, 색에 소리를 입히거나 촉각적 요소를 더하는 등의 실험적 예술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색을 감지하면 다른 진동이나 소리로 변환되는 인터랙티브 전시물을 활용할 수도 있다.


4. 일반인이 체험할 수 있는 색각 탐구 예술 취미활동

색각 탐구 예술은 단순한 감각적 실험이 아니라, 일상에서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취미활동으로 확장될 수 있다.

① 색각 변형 모드 사진 촬영하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색각 변형 필터 앱을 사용해 평소에 익숙한 풍경이나 사물을 다른 색감으로 촬영해 보는 활동이다. 같은 장소라도 필터를 통해 색을 달리하면 전혀 다른 분위기의 사진이 완성된다.

② 흑백 드로잉 및 채색 실험

색을 구별하기 어려운 색약인의 경험을 직접 체험해 보려면, 흑백 사진을 보고 그 이미지를 색칠하는 연습을 해볼 수 있다. 색을 보지 않고도 질감과 명암을 통해 감각적으로 그림을 표현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③ 색각 탐구 보드게임 만들기

기존의 색을 활용하는 게임(예: 카드 게임, 퍼즐 등)을 색각 탐구 모드로 변형하여 색이 아닌 명암, 패턴 등을 활용해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본다. 예를 들어, 같은 색을 매칭하는 게임이 아니라, 형태나 질감을 매칭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④ 색각 탐구 VR 및 디지털 아트 실험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하여 색각 이상인이 바라보는 세상을 직접 체험해 보거나, 디지털 아트 프로그램을 이용해 색상 감각을 제한한 상태에서 그림을 그려보는 실험을 해볼 수 있다.

⑤ 색을 소리로 변환하는 사운드 아트

색상을 소리로 변환하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특정 색이 특정 음으로 들리는 방식의 사운드 아트를 제작하는 방법도 있다. 색을 듣는 경험을 통해 색에 대한 새로운 감각적 접근이 가능해진다.


5. 색각 탐구 예술의 가치와 가능성

① 감각적 다양성의 이해

색각 탐구 예술은 사람들이 색을 다르게 경험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시각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색은 누구에게나 동일한 방식으로 인식되지 않으며, 각자의 경험 속에서 다르게 작용한다.

② 포용적 디자인과 예술적 접근

색약이나 색각 이상을 가진 사람들도 즐길 수 있는 디자인과 예술이 필요하다. 색상 선택에서 대비를 강조하거나, 색 이외의 감각 요소를 추가하는 방식이 이를 실현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③ 예술과 과학의 융합

색각 탐구 예술은 단순한 예술적 실험이 아니라, 과학적 연구와 결합하여 더 넓은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색각 이상인의 시각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색을 소리로 변환하는 프로젝트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감각적 체험을 창조할 수도 있다.


6.  색을 보는 방식은 모두 다르다

색각 탐구 예술은 단순히 색을 다르게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색을 경험하는 방식 자체를 재해석하는 과정이다. 색을 보는 것이 아니라, 색을 ‘느끼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나는 색약을 가지고 있지만, 나만의 방식으로 색을 경험하고 해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예술로 확장될 때, 우리는 색을 넘어서 감각을 공유하는 새로운 방식의 미술을 만들 수 있다.

색은 보는 것이 아니라, 경험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경험을 통해 우리는 서로 다른 감각을 이해하고, 더 넓은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다.